00

14

[2014] "전자 방명록" Wall type -국립극장

[2014] "전자 방명록" Wall type -국립극장

국립극장

UX 기획 및 AR 시스템 설계 / 인터페이스 디자인 / 미디어 설치 운영

UX 기획 및 AR 시스템 설계 / 인터페이스 디자인 / 미디어 설치 운영

01 Mini Type

55인치 디스플레이를 2대를 활용한 키오스크 형태의 미디어 플렛폼. 키오스크 A형의

키오스크에 하나의 디스플레이가 더해지면서 보다 사용성과 메세지 전달력이 높아 집니다.

화면과 화면을 이동하는 icon object를 활용 할수 있어,보다 즐거운 미디어 경험이 제공됩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02 Wall type

55인치 멀티터치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주변 벽면을 디스플레이로 활용하는 미디어

플렛폼. 5m x 3m, 10m x 3m등등 공간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월 연출이

가능합니다. 보다 넓어진 화면속 광고나, 미디어 영상이 플레이 되거나, icon object를

활용한 다양한 애니메이션을 연출 할 수 있고, 보다 주목성을 높혀 사용자의 참여를 높히고,

플레이되는 미디어의 광고효과도 높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03 Multivision Type

전자방명록 플렛폼은, 그 미디어 테마 뿐만 아니라, 하드웨어 적인 부분 까지도 커스텀이 가능합니다.

공간의 컨셉과 크기에 따라, 사용자가 가장 즐겁 고 놀라운 경험의 추억을 간직할 수 있도록

커스텀이 가능합니다.프라이머리 스튜디오와 상의 하시면 가장 알맞은 형태의 플렛폼을 제안해 드립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Introduction

국립극장 창립 50주년을 기념하여 설치된 AR UCC 체험 콘텐츠는,
대표 공연작인 ‘별주부전’을 테마로 관람객이 무대의 주인공이 되어보는 증강현실 체험을 구현했습니다.

관객은 AR 필터를 통해 토끼, 자라 등의 캐릭터로 변신하고,
자신의 이미지를 캐릭터화하여 사진으로 촬영,
이를 휴대폰으로 전송하거나 현장에서 출력,
또는 대형 스크린으로 드래그해 실시간 공유할 수 있는 UX를 경험합니다.

Role

UX 기획 및 AR 시스템 설계 / 인터페이스 디자인 / 미디어 설치 운영
(AR 필터 개발, UCC 플랫폼 UI 설계, MMS·이메일 연동, 실시간 대형 스크린 인터랙션)

Highlights

  • 국립극장의 대표 레퍼토리인 ‘별주부전’을 사용자 캐릭터화 기반 콘텐츠로 재해석

  • 증강현실 AR 기술 + 멀티터치 인터페이스 결합

  • 50인치 인터랙티브 스크린 + 400인치 대형 미디어월 연동

  • 사용자의 AR 변환 이미지를 MMS, 이메일 전송 기능 및 실시간 공유 기능으로 연결

  • 광고효과 삽입 가능: 슬로건, 브랜드 이미지 삽입된 전송 콘텐츠 → 2차 마케팅 가능

  • 사용자가 직접 생성한 이미지 기반의 참여형 광고 플랫폼으로 활용


©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