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백제의 왕궁 – 풍납토성 재연’ 영상은 1997년부터 시작된 풍납토성 발굴조사에서 왕궁 유구가 일부 확인되며, 당시 백제 도성의 전체 윤곽을 시각적으로 복원하고자 기획된 콘텐츠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남아있는 사료가 적은 상태에서 철저한 고증과 고고학·건축사적 자료를 기반으로, 정무·생활·정원 공간을 갖춘 백제 왕궁의 실제 모습을 고해상도 3D 애니메이션으로 재현하였습니다.
Role
역사 고증 기반 3D 영상 콘텐츠 제작 총괄 / 전시 기획 연계 영상 기획 및 스토리 구성 / 왕궁 구성 요소별 시각화 기획 및 연출
Highlights
고증 기반 영상 기획: “그들은 누구였나?”, “왕궁은 어디에?”, “어떤 형태였나?”, “그들은 어떻게 살았나?”라는 4가지 키워드로 재연 기획
3D 재현 구성: 왕궁의 [정무 공간], [생활 공간], [정원 공간]을 중심으로 입체적 구성
발굴 조사 기반 시각화: 풍납토성 발굴 지층(4m 깊이 유구) 분석을 통한 지형 반영
비교 연구 반영: 중국 장안성과 일본 아스카지역 도성 제도를 참고한 도로 및 기반시설 구성
인물 중심 콘텐츠: 왕, 왕족, 궁인, 관리 등 왕궁 생활 인물들의 복식, 동선, 생활상까지 3D 애니메이션으로 세밀히 구현
몰입형 영상: 관람객이 실제 백제시대 공간을 거니는 듯한 영상 연출로 교육적 효과와 체험 몰입감 극대화
Impact & Feedback
특히 어린이 및 청소년 관람객에게 역사에 대한 관심과 흥미 유도
관람객에게 “지루한 유적 전시”라는 편견을 벗어나게 한 대표적 사례
유적지 현장의 실감나는 시각자료로 박물관 전시 해설 및 교육 프로그램에 적극 활용
Why It's Outstanding
실존 유구와 비교연구를 결합해 고대 도성의 전체 구조를 최초로 시각화
교육·문화적 가치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공공영상 콘텐츠로서 완성도 확보
역사 고증 기반의 스토리텔링을 공간과 인물로 풀어낸 고품질 3D 콘텐츠
© 2024